학술대회 프로그램
2020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종합학술대회 프로그램
※ 특별강연 강사의 프로필 및 세션 초록을 보기위해서는 제목을 클릭하세요. |
일시: 2020년 10월 17일(토), 온라인 |
등록 및 개회식 사회: 양형철(서울대) | |
---|---|
08:30 ~ 08:50 | 2020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종합학술대회 개회사 회장 박영준 |
구두발표 좌장: 안진수(서울대) | |
08:50 ~ 10:10 | Oral Presentation |
10:10 ~ 10:20 | Coffee Break |
12:00 ~ 13:00 | Lunch Time & 후원사 재료소개 온라인부스 좌장: 정신혜(서울대) |
포스터 발표 좌장: 권태엽(경북대) | |
13:00 ~ 14:00 | Poster Presentation |
특별강연 I 좌장: 배지명(원광대) | |
15:00~16:00 | Prof. James Kit-Hon Tsoi
(Department of Dental Materials Science, Faculty of Dentistry, HKU) |
“AI in prosthodontics, orthodontics and dental robotics” |
|
특별강연 II 좌장: 안진수(서울대) | |
16:00~17:00 |
홍민호 교수 (강릉원주대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학교실) |
“계층적 생광물화를 모방하기 위한 자연모사 재료 공정” |
|
시상 및 폐회식 사회: 배지명(원광대) | |
17:00-17:30 | 우수 구연 및 포스터 시상 및 폐회 |
대한치과재료학 정기총회 사회: 배지명(원광대) | |
17:30~18:30 | 대한치과재료학회 정기총회 |
2020 Korean Society for Dental Materials Academic Conference Program
※ Please click session title to have an information about presenter's profile and session abstract. |
Date: Oct 17, 2020 (Sat.), Online |
Registration & Opening CeremonyModerator: Hyeong-Cheol Yang(SNU) | |
---|---|
08:30 ~ 08:50 | Opening Remarks for 2020 KSDM Conference President: Yeong-Joon Park (CNU) |
Oral PresentationChair: Jin-Soo Ahn(SNU) | |
08:50 ~ 10:10 | Oral Presentation |
10:10 ~ 10:20 | Coffee Break |
Special Lecture I Chair: Kwang-Mahn Kim(YSU) | |
10:20 ~ 11:20 | Byoung In Suh (BISCO)
Evolution of dental resin cement |
11:20 ~ 12:00 | Taek Rim Yoon (Chonnam Natl. Univ.)
Clinical Application of 3D Printing in the field of orthopedics and dentistry |
12:00 ~ 13:00 | Lunch Time & Sponsors’ Online booth |
Poster PresentationChair: Tae-Yub Kwon(KBU) | |
13:00 ~ 14:00 | Poster Presentation |
Special Lecture II Chair: Tae-Sung Bae(CBU) | |
14:00 ~ 14:40 | In-Sung Yeo (Seoul Natl. Univ)
Hard tissue responses to implant surfaces |
14:40 ~ 15:20 | Jong-Cheol Jeong (Sammore Dental Clinic)
Consideration of dental implant materials & their mechanical complications |
Special Lecture III Chair: Hae-Won Kim(DKU) | |
15:20 ~ 16:00 | Jung-Hwan Lee (Dankook Univ.)
Reactive nanoparticulates for soft and hard tissue regeration |
16:00 ~ 17:00 | Siegward D. Heintze (Ivoclar Vivade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inical survival of direct restorations with a
special focus
on bioactive
materials – |
17:00 ~ 17:10 | Coffee Break |
Special Lecture IV Chair: Han-Cheol Choe(CSU) | |
17:10 ~ 17:50 | Ji-Marn Park (Yonsei Univ.)
Clinical Applications of 3D Printing Materials |
17:50 ~ 18:30 | Jae Sung Kwon (Yonsei Univ.)
Dental Medical Devices - Market, Regulation and Standard |
Awards Ceremony & Closing Moderator: Ji-Myung Bae(WKU) | |
18:30 ~ 18:50 | Awards Ceremony (Oral & Poster) & Closing |
2020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종합학술대회 특별강연
특별강연 I 좌장: 김광만(연세대) |
![]() Evolution of dental resin cement Byoung In Suh (BISCO) |
![]() 정형외과 및 치과 영역에서 |
---|---|---|
특별강연 II 좌장: 배태성(전북대) |
![]() 임플란트 표면에서의 경조직 반응 여인성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
![]() 임플란트 재료의 선택 |
특별강연 III 좌장: 김해원(단국대) |
![]() 조직재생용 활성나노입자 이정환 (단국대 치과대학) |
![]()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inical survival of direct restorations with a special focus on bioactive materials – Evidence from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Siegward D. Heintze (Ivoclar Vivadent) |
특별강연 IV 좌장: 최한철(조선대) |
![]() 3D프린팅 소재의 다양한 임상활용 박지만 (연세대 치과대학) |
![]() 치과 의료기기 |
2020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종합학술대회 Oral Presentation
시간: 08:50~10:10 |
좌장: 안진수 (서울대) |
* 발표자에 마우스를 올리시면 공저자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순서 | 발표자/공저자 | 연제 |
---|---|---|
O-01 | 신성진 (원광대)
공저자(* 교신저자) 문성희, 오승한, 김성환, 배지명* |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물질로서의 토란 추출물 |
O-02 | 박경희 (전남대)
공저자(* 교신저자) Yun-Jeong Park, Ho-Jun Song and Yeong-Joon Park* |
치과 임플란트용 단백질 흡착을 위한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된 티타니아 |
O-03 | 김유진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Jung-Hwan Lee and Hae-Hyoung Lee* |
항균성 나노입자를 포함한 PMMA의 기계적 특성과 항균 평가 |
O-04 | 전세정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전수경, 김유진, 안준용, 이정환, 이해형* |
구리함유-생체활성나노입자를 첨가한 치과용 산화아연인산시멘트의 항균력과 세포독성 |
O-05 | 오상(Shuang Wu) (전북대)
공저자(* 교신저자) Jung-Eun Park, Min-Ho Lee, Tae-Sung Bae and Yong-Seok Jang* |
칼슘포스페이트가 코팅된 마그네슘의 생체적합성 및 생체흡수성 |
O-06 | 마진(Chen Ma) (전북대)
공저자(* 교신저자) Ji-Bong Choi, Min-Ho Lee, Tae Sung Bae and Yu-Kyoung Kim* |
조직 공학을 위한 포유류 및 어류 젤라틴 메타 크릴로일 - 알지네이트 상호 침투 폴리머 네트워크 하이드로 겔 |
O-07 | 윤여균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Na-Hyun Lee, Jung-Hwan Lee, Hae-Hyung Lee and Hae-Won Kim* |
BMP-2 플라스미드 DNA 주입을 통한 중간엽줄기세포의 뼈 분화 증진 |
O-08 | 저우저추(Zechu Zhou)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Jeong-Hui Park, Jung-Hwan Lee,Hae-Hyung Lee and Hae-Won Kim* |
미세유체공학 기술을 기반으로한 균일한 Poly (caprolactone) 입자의 제조 |
O-09 | 김기태 (연세대)
공저자(* 교신저자) Jie Jin, Utkarsh Manga, Kwang-Mahn Kim, Sung-Hwan Choi, Jae-Sung Kwon* |
피질골 밀도와 2차 삽입으로 인한 교정용 티타늄 미니스크류의 초기 안정성 |
2020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종합학술대회 Poster Presentation
시간: 13:00~14:00 |
좌장: 권태엽 (경북대) |
* 발표자에 마우스를 올리시면 공저자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순서 | 발표자/공저자 | 연제 |
---|---|---|
P-01 | 한희원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Hae-Won Kim, Jung-Hwan Lee and Hae-Hyoung Lee* |
다제내성 균에 대한 자몽 종자 추출물의 항균 효과 및 치과재료로의 응용 |
P-02 | 문성희 (원광대)
공저자(* 교신저자) Seong-Jin Shin, Seunghan Oh, Seong Hwan Kim and Ji-Myung Bae* |
꼬리고사리(Asplenium incisum)의 치주질환에 대한 항균, 항염증,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 |
P-03 | 레지나 Regina Trigueros (전북대)
공저자(* 교신저자) Young-SeonBaek, Seo-Young Kim, Yong-Seok Jang and Min-Ho Lee* |
생강 추출물 내 주요성분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세포적합성 |
P-04 | 김용준 (서울대)
공저자(* 교신저자) Lele Wu, Hee Chul Park and Hyeong-Cheol Yang* |
포스파티딜세린 리포좀이 함유된 알지네이트-젤라틴 기질 표면의 대식세포 부착 및 섬유질 캡슐화 억제 |
P-05 | 이상철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Hae-Won Kim, Jung-Hwan Lee and Hae-Hyoung Lee* |
높은 활성산소 농도에서 Selenium nanoparticle이 MC3T3-E1 세포의 뼈 분화에 미치는 영향 |
P-06 | 이재서 (경희대)
공저자(* 교신저자) Il Keun Kwon* |
온도 및 pH 반응성 주사용 숙시닐화 키토산 하이드로겔 |
P-07 | 이성길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Ji-Young Yoon, Jeong-Hui Park, Jung-Hwan Lee, Hae-Hyung Lee and Hae-Won Kim* |
3D 마이크로 채널 구조 스캐폴드를 이용한 조직재생연구 |
P-08 | 최병한 (전남대)
공저자(* 교신저자) 서현, 박영준, 송호준* |
티타늄 상에 전기화학적 증착 방법을 이용한 콜라겐함유 수산화인회석 코팅 연구 |
P-09 | 신혜정 (부산대)
공저자(* 교신저자) Yong-Hoon Kwon and Hyo-Joung Seol* |
모의 소성 시 냉각 속도의 조절이 Pd-Ag-In-Sn-Ga 합금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 |
P-10 | 김현준 (조선대)
공저자(* 교신저자) Han-Cheol Choe* |
플라즈마 전해 산화를 이용한 Ti-35Nb-xTa 합금 표면에 마이크로 기공 형성 |
P-11 | 최한철 (조선대)
공저자(* 교신저자) 김현준, 조혜리* |
ta-C코팅을 이용한 치과용 Ni-Ti File의 피로파절개선 |
P-12 | 조혜리 (조선대)
공저자(* 교신저자) Han-Cheol Choe* |
Nb함량에 따른 Ti-xNb-Ag-Pt 합금의 나노 튜브 형태 변화 |
P-13 | 후샹이팅
Xiang-Ting Fu (단국대)
공저자(* 교신저자) Yu-Meng Li, Jung-Hwan Lee, Hae-Hyung Lee and Hae-Won Kim* |
염증조직재생을 위한 엽산이 함유된 생체 활성 유리 나노 입자 개발 |
P-14 | 서지연 ((주)베리콤)
공저자(* 교신저자) Myunghwan Oh* |
바이오세라믹 근관충전재의 기계적 특성 비교 |
P-15 | 심재훈 (강릉원주대)
공저자(* 교신저자) 이중배* |
졸-겔 법에 의한 실리카 코팅이 지르코니아-포세린 결합에 미치는 영향 |
P-16 | 최수연 (전북대)
공저자(* 교신저자) Seha Kim, Jeong-Hui Ji, Min-Ho Lee and Tae-Sung Bae* |
리튬 디실리케이트 크라운의 제작방법이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
P-17 | 손원배 (연세대)
공저자(* 교신저자) Tae-Yun Kang, Sang-Bae Lee, Jae-Sung Kwon* |
다양한 표면처리에 따른 지르코니아 표면 특성 및 지르코니아 코어와 베니어 세라믹 사이의 디본딩/크랙 개시 강도 |
P-18 | 백인규 (서울대)
공저자(* 교신저자) 주성원, 안진수* |
치과진료 보조로봇 개발 |
2020년 대한치과재료학회 종합학술대회(온라인) 후원사 재료소개 온라인 부스
Evolution of dental resin cement

This presentation will scientifically cover the following topics, with the help of some basic chemistry:
- ⦁ Adhesion Compatibility and SC Activators
- ⦁ Amine-free DC resin cements
- ⦁ Self-adhesive resin cements
- ⦁ High pH self-adhesive resin cements.
* Brief CV
EducationBachelor’s Degree in Chemistry at Sung-Kyun Kwan University
Master’s Degree in Chemistry from Cal state University
Ph.D. Degree from Tsurumi University in 2005
PositionAs Chief R&D Chemist/ Vice President at W.A. Erickson &Co
Founded Bisco,Inc. in 1981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MembershipsAACD’s Presidential Award for “Outstanding Contribution to the Art and Science of Cosmetic Dentistry” in 2003
EUGENE W. SKINNER Award for Innovation in Dental Materials in 2006
“Principles of Adhesion Dentistry” was published in 2013
Fellow of the Academy of Dental Materials.
Member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Dental Research/International Association of Dental research.
The Board of Counselor of the UCLA School of Dentistry.
Focus of ResearchDoing research on biomaterials such as bio glass.
Clinical Application of 3D Printing
in the field of orthopedics and dentistry

여러 의료분야 중에서도 3D 프린팅 기술이 가장 활발하게 활용될 분야로는 치과 분야와 정형외과 분야의 여러 의료 기기 및 인체 삽입 의료 기기 등이라 할 수 있다.
정형외과 분야에서는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 견관절 등 관절 주위의 재건수술과 척추 재건 수술에 많이 활용되고, 수술 전 환자 뼈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진단하기 위한 뼈모델의 제작이나, 수술 전에 하는 예비 수술, 수술 중 사용하는 수술가이드, 그리고 뼈를 대체하는 대체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치과 분야에서는 여러 보철물들의 가공이나 의치를 보다 편리하고 구강 해부에 맞게 제작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며, 임플란트의 제작이나 임플란트를 삽입할 때 보조기구로써 가이드의 제작, 치과 교정 시에 투명교정기구 등을 제작하는 데 많이 사용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용 목적에 맞는 프린터의 구입, 적합한 의료용 소재, 그리고 해부학적 구조를 잘 표현해 낼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활용 등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학회에서의 발표는 정형외과 영역과 치과 영역에서의 본인의 경험을 가미한 최신의 3D 프린팅 기술의 임상적 용용에 대한 흐름을 발표하고자 한다.
* 특강연자 소개
학력1984.02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학사
1987.02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석사
1992.02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박사
경력1993.08~현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교수
1996.09~1997.08 Johns Hopkins Hospital 정형외과 Visiting Scientist
2014.01~2014.12 한국생체재료학회 회장
2014.10~2017.10 전남대학교병원 원장
2016.07~2017.10 국립대병원장협의회 회장
2019.01~현재 광주의료산업발전협의회 회장
2019.12~현재 대한고관절학회 회장
학회 및 전문가 활동정회원: 대한정형외과학회, 대한골절학회, 대한고관절학회, 한국전자통신학회
일본고관절학회(JHS), 서태평양정형외과학회(WPOA), 세계골격혈류학회(ARCO)
2009.03~2011.03 보건복지가족부 식품의약품안전청 의료기기위원회 위원
2010.05~2013.04 지식경제부 산업 표준 심의회 위원
2011.03~현재 FISU(국제대학스포츠연맹) 의무위원
2017.12~현재 우즈베키스탄 보건부 행정고문
중점연구분야근골격계 재건 연구
간엽줄기세포 응용 연구
의료기기 연구개발
3D Printing Technology
국내외 논문 257건, 특허 54건, 저서·번역서 19건, 기술이전 2건
Hard tissue responses to implant surfaces

순수 티타늄 표면에 대한 골조직 세포의 반응은 면역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골유착이란 현상을 보이며 임상적으로 상실한 치아의 기능을 대체하는데 기존의 치료법에 비해 탁월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골조직 세포의 반응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표면처리 기법을 적용하면서 티타늄 표면은 생체적합성을 높였고, 임플란트의 임상적 성공률 또한 높아졌다.
최근, 임플란트 표면에 기능성 펩타이드를 적용하여 주위 골대사를 조절하려는 응용생체계면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조직 평가 연구 방법에서도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이 발표는 연구자가 현재까지 추진한 경조직-임플란트 계면 평가 결과를 말하고, 새롭게 시도한 3차원적인 골-임플란트 계면 평가법을 소개한다.
* 특강연자 소개
학력1993.03~1995.02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치의예과 수료
1995.03~1999.02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치의학 학사
2000.03~2002.02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치과보철학) 석사
2002.03~2007.08 서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치과보철학) 박사
경력2010.09~2014.08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조교수
2014.09~2019.08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부교수
2019.09~현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교수
학회 및 전문가 활동1999~현재 대한치과보철학회원
2002~현재 한국물리학회(The Korean Physical Society) 정회원
2005~현재 미국 골유착학회(Academy of Osseointegration)원
2009~현재 편집위원,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ISSN 2005-7806)
2012~현재 편집위원, Prosthesis (ISSN 2673-1592)
중점연구분야생체조직-임플란트 계면
임플란트-지대주 연결 구조
Consideration of dental implant materials &
their mechanical complications

그러나 최근에는 임플란트의 시술 연령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에 있고 이로 인하여 가능한 수술 시 환자에게 손상과 동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짧은 직경의 임플란트나 또는 가는 직경의 임플란트의 사용 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고 그에 비례하여 임플란트의 사용과 관련되어 임플란트 주위염 외에도 임플란트의 파절 등의 기계적인 합병증이 역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기계적인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임플란트의 제작 시 주로 사용되는 Grad IV 타이타늄 외에 Grade V 타이타늄 또는 타이타늄과 지르코니아의 합금인 록솔리드 등을 이용한 임플란트의 제작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Grade V 타이타늄을 이용한 임플란트는 기계적인 강도가 Grade IV에 비하여 훨씬 강한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임플란트의 파절 등의 기계적인 합병증을 줄일 수 있으나 Grade V에 소량 포함된 Al, V 등의 인체에 대한 독성의 가능성 등으로 아직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지는 않고 있다.
이에 본 연자는 임플란트의 제작 시 사용되는 타이타늄 재료의 기계적인 특성에 대하여 임상과 연관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지견을 소개하고자 한다.
* 특강연자 소개
학력1982.03~1988.02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1994.02 전남대학교 대학원 치의학과 졸업 (치의학박사)
경력1996.03~2001.02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조교수
2001.02~2004.03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부교수
1999.02~2004.04 가천의과대학교 길병원 구강외과 과장
2005~현재 샘모아치과 원장
학회 및 전문가 활동2000~2001 베를린 훔볼트 의과대학 교환교수
2008~2011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인천지부 회장
2012~현재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인천지부 고문
중점연구분야타이타늄 임플란트의 기계적 특성
타이타늄 임플란트의 임상적 고려
Reactive nanoparticulates for soft and hard tissue regeration

이 강연에서는 치과 조직을 복구하고 재생하는데 개발된 활성나노생체재료에 대한 개발 및 그 적용의 최신 연구를 다루려고 한다.
* 특강연자 소개
학력2005.03~2011.02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과 치의학 학사
2011.03~2015.02 연세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과 치의학 박사
경력2018.03~현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학교실 및 조직재생공학연구원 조교수
학회 및 전문가 활동2015.03~현재 IADR 정회원
2016.03~현재 대한치과재료학회 회원 섭외이사
2018.03~현재 대한치과재료학회지 편집위원
2019.03~현재 Journal of tissue engineering, 편집위원
2019.03~현재 Nanomaterials, 편집위원
중점연구분야생체활성나노입자, 치과조직재생, 줄기세포,
Biomaterials, Acta Biomaterialia, Dental Materials등 70여편 SCI급 논문 게재
Factors that influence the clinical survival of direct restorations
with a special focus on bioactive materials
– Evidence from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 Brief CV
Dr. Siegward D. Heintze graduated from the Free University Berlin in 1984. In 1992 he finalized his thesis of doctorate about “Screening of individuals with high caries risk - Evaluation of different caries risk predictors in a multifactorial statistical model”. In 1993 he received in Cologne the “Hufeland Award” for this thesis, for the best scientific work on the field of medical/dental prevention in Germany. From 1984 until 1989 he worked in the Department of Ope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at the Free University Berlin (Head: Prof. Dr. J.-F. Roulet) as scientific assistant. From 1989 until 1993 he did a continuing education training in pedodontics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and Pediatric Dentistry of the same university (Head: Prof. Dr. R.-R. Miethke). At that time, he worked part-time in a private practice in Berlin. 1994 until 1996 he had a scholarship of the German Research Community to lead a research project at the Dental School in Bauru/Brazil about “40 years of water fluoridation in the southeast of Brazil - risks and benefits”. Since 1997 he is working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Department of Ivoclar Vivadent, first as Head of Clinical Research, and since 2001 as Head of Preclinical Research. In 2010 he received his Ph.D thesis at the University of Groningen, The Netherlands, with the title: “Predictability of Clinical Wear by Laboratory Wear Methods for the Evaluation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Supervisor: Prof. M. Özcan). Besides caries prevention his focus of research is (1) Clinical relevance of laboratory methods to test dental materials, (2) Wear of dental materials - in vitro and in vivo, and (3)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clinical trials on restorative materials.
Clinical Applications of 3D Printing Materials

치과 분야에서는 수술을 통한 재건 외에도 보철 수복 영역에서 활발하게 3D 프린트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전통적인 인상재로 본을 뜨는 대신, 영상 기술로 3D의 구강 내 형태 데이터를 얻어내는 구강스캐너가 이제는 많이 보급되었고, 실체가 없는 구강스캔 데이터를 모형으로 프린트하여 보철물을 맞춰보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금속 및 세라믹으로 주조하기 위한 희생패턴,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및 실제 구강 내에서 직접 사용하는 임시수복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치과 임상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을 살펴보고, 이로 인해 가능해진 다양한 치과진료와 이와 관련된 임상적 유효성에 관해서 말씀드리고자 한다.
* 특강연자 소개
학력2002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2005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보철과 석사
2011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보철과 박사
경력2002~2006 서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 인턴, 레지던트
2009~2015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조교수
2015~2017 관악서울대학교치과병원 보철과 진료부교수, 진료부장
2017~2020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 임상부교수
2020.3~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학교실 부교수
2020.9~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기획관리실장
학회 및 전문가 활동Implantology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공식저널) 편집장
대한치과보철학회 편집이사
ISO TC106 SC9 WG7 (국제표준기구 치과, 디지털, 3D프린팅 작업반) 간사
공직치과의사회 학술이사
대한디지털치의학회 보험이사
중점연구분야구강스캐너 개발 및 표준화
고분자 3D프린팅 장비 및 소재 개발
세라믹 3D프린팅 장비 및 소재 개발
치과용 임플란트 수술 로봇 개발
Dental Medical Devices - Market, Regulation and Standard

치과 의료기기의 인증 및 허가 절차는 현재 나라마다 상이하여 이에 각 나라에서 인증 및 허가에 필요한 적절한 서류와 방법을 파악하여야만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규제 과학’이다. 특히 최근에는 전 세계 의료기기 규제 당국의 조합인 International Medical Device Regulators Forum (IMDRF)의 시작과 유럽 CE 인증의 Medical Device Regulation (MDR)을 통한 강화 등으로 치과의료기기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규제와 관련된 표준에 대한 관심 또한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치과의료기기에 대한 관심과 인증 및 허가 절차에 대한 고민에 비해 국내의 국제표준 활동은 매우 미미하며 국내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반영되지 못하여 미국 및 유럽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이 있거나 낮은 품질의 제품이 국내에 수입되는 경우가 보고되고 있다. 실제로 치과의료기기의 국제표준을 제정하고 개정하는 국제표준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 TC)인 ISO/TC 106 Dentistry 안에서는 매우 활발한 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180건의 넘는 국제 표준이 이미 제정되었고 60건 가까이의 국제표준이 새로 제정되거나 개정 작업 중에 있어 이에 대한 동향 파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국제표준의 개발과 치과의료기기의 인증 및 허가 절차에서 치과재료 전문가들과 치과 임상가들의 전문성은 매우 중요하며, 안전하고 성능이 좋은 치과 의료기기 개발과 연결되어 국민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강연을 통해 국내 치과재료 전문가들과 치과의사들의 치과의료기기 시장참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 특강연자 소개
학력2001.09~2007.08 영국 University of Nottingham 의과대학 의학사(BM BS)
2009.09~2010.12 영국 University of Nottingham 의과대학 의과학 석사(MMedSci),
2014.03~2016.09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응용생명과학과 치의학 박사(PhD)
경력2017.09~2019.03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연구교수
2019.03~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조교수
학회 및 전문가 활동2016.09~현재 Convener, ISO/TC 106, SC 4/WG 14 Materials for Dental Instruments
2011.09~현재 Expert, ISO/TC 106 Dentistry
2014.09~현재 Expert, ISO/TC 194 Biological and Clin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
2018.03~현재 국제협력위원회 간사, 한국치의학교육평가원
2019.03~현재 국제이사,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19.03~현재 이사, 대한치과재료학회
중점연구분야치과 의료기기 및 의료기기의 생물학적 평가
치과 의료기기 및 의료기기의 표준화
항균성 및 방오성 치과재료
플라즈마의 치의학 적용